문제상황

위 사진과 같이 에러가 나오고 시작이 안 되는 상황에서는 

실행 폴더 위치를 한 번 확인 해주는것도 해결법중 하나 일 수 있습니다.

해결법

저와 같은 경우는 vscode에 master 위치로 나와도 파일 시작위치가 잘못된것을 파악하지 못해서 오류 난것이였습니다.

ex) project a(master) -> project(master) 위치로 변경후 npm start 정상실행 완료

런타임이란?

프로그래밍 언어가 구동(running)되는 환경(environment)을 말합니다.

런타임 환경의 종류

자바스크립트의 대표적 런타임 환경은 2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. 

  1. 브라우저(ex : Chrome, Microsoft Edge, Firefox, Internet Explorer)
  2. node환경

즉, javascript 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2가지가 있다는것 입니다.

리액트를 이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우리 과정에서는, 노드 환경이 아닌 브라우저 환경을 이용해 개발을 할거에요!
+ 웹 개발에 많은 도움을 주는 크롬 브라우저가 있습니다.

 

차이점

node.js와 브라우저의 존재 목적

브라우저는 HTML, CSS, JS를 실행하여 웹 페이지를 화면에 띄우는 것이 목적인 반면

Node.js는 서버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입니다.

'Front-End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avascript] filter 사용법 예제  (2) 2023.12.03
[JavaScript] 문자열 변환방법  (0) 2023.12.01
[JavaScript] 클로저란?  (1) 2023.11.18
[Javascript] 객체 리터럴이란?  (1) 2023.11.04
[JavaScript] startsWith() 개념  (0) 2023.11.02

git push origin master로 하면 branch가 main말고 master에 생성되어서 master에 커밋 메세지를 입력한 프로젝트 파일들이 생성됩니다.

개념을 잘 모르면 조금 해맬수 있으니 참고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~

 

※ main에 가봤자 프로젝트가 없습니다! 

 

 

.

리덕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결국 우리가 리덕스의 구성요소를 모두 만들어야만 사용이 가능합니다.
근데 만약 리덕스 모듈을 개발하는 개발자마다 구성요소들을 제 각각 구현하면 아무래도 안 좋겠죠?
그러면 내가 개발자와 협업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을 때 수많은 파일 중에 내가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를 찾는것이 어렵습니다.

그래서 한 개발자가 이것을 패턴화하여 작성하는 것을 제안했는데, 그것이 바로 Ducks패턴입니다. Ducks 라는 이름은 리덕스의 덕스라고 합니다. 심볼은 오리 입니다.

리터럴(Literal)이란?

리터럴은 데이터(값) 그 자체를 뜻한다. 즉, 변수에 넣는 변하지 않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.


const b =2 ;

여기서 b는 상수이고, 2은 리터럴 입니다.

리터럴 표기법이란?

코드 상에서 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을 리터럴이라 하고, 객체지향언어에서는 객체의 리터럴 표기법을 지원합니다.

리터럴표기법은 변수를 선언함과 동시에 그 값을 지정해주는 표기법을 말합니다.

자바스크립트에서는 변수를 let으로 선언하면 어떤 값이든지 자유롭게 대입할 수 있지만
타입스크립트에서는 표기한 타입과 일치하는 값만 대입할 수 있습니다. 

 

- 타입 뒤에?가 붙어 있는것은 옵셔널(optional)수식어로 해당 자리에 값이 있어도 그만, 없어도 그만이라는 뜻 입니다.

 

타입을 배우다 보면 값(value)과 타입이 헷갈리기 시작합니다.
값은 일반적으로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값을 가리키고, 타입은 타입을 위한 구문에서 사용하는 타입을 가리킵니다. 결론부터 말하면 타입을 값으로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.
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값과 타입으로 사용할 수 없는 값을 구분하면 됩니다.

이전 절에서 보았듯 대부분의 리터럴 값은 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반대로 변수의 이름은 타입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. 다만 Date Math, Error, String, Object, Number, Boolean 등과 같은 내장 객체는 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