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바스크립트에서는 변수를 let으로 선언하면 어떤 값이든지 자유롭게 대입할 수 있지만
타입스크립트에서는 표기한 타입과 일치하는 값만 대입할 수 있습니다.
- 타입 뒤에?가 붙어 있는것은 옵셔널(optional)수식어로 해당 자리에 값이 있어도 그만, 없어도 그만이라는 뜻 입니다.
'Front-End > Type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s-react] 인강 필기 (0) | 2023.12.09 |
---|---|
[TypeScript] 타입으로 쓸수있는것 구분하기 (0) | 2023.11.19 |
[TypeScript] 타입스크립트 사용시 주의점 (0) | 2023.11.17 |
[TypeScript] 타입스크립트 와 자바스크립트의 차이점 (0) | 2023.11.16 |
[TypeScript] 타입스크립트의 에러를 무시하는 방법 (0) | 2023.11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