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) 타입사용시 const a : number = '5' ; 이부분에서 변수뒤에 타입이 오며 number를 Number처럼 대문자로 쓰면 안됩니다.

 

2) 명시적으로 const b : any 이렇게 any를 사용할일은 거의 없을것입니다. 

 

3) 매개변수 바로 뒤의 값이 return값 타입사용 자리 

 

4) 함수의 return의 타입사용자리는 매개변수 바로뒤인데

화살표함수의 return의 타입사용자리는 => 뒤에 나온다는것 

 

ex)
function add(x: number, y: number) : number // 함수 

type Add = (x: number, y: number) => number;  // 화살표함수

 

tip) 타입을 지워도 말이 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여야한다 

 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