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s://ljh86029926.gitbook.io/coding-apple-react/undefined/this
this - React
두 번째 예제에서의 this실행 시점은, testObejct의 객체인 consoleA로써 실행되었기에 this가 부모인 testObject를 가리킨 것이고, 세 번째 예제에서의 this 실행 시점은, 어떤 특정한 변수에 담겨졌기 때문
ljh86029926.gitbook.io
,
https://velog.io/@zinukk/%EB%B0%94%EC%9D%B8%EB%94%A9
바인딩이란? ( Feat . this )
바인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바스크립트의 "this"라는 메소드의 이해가 무조건적으로 필요하다. 그래서 리액트의 바인딩을 알아보기 전에 자바스크립트의this 메소드를 활용한 바인딩을
velog.io
를 참조했다.
'Front-End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 에서 하나의 태그로 감싸져 있는이유 (0) | 2022.12.03 |
---|---|
React '불변성' (0) | 2022.12.02 |
'React'는 UMD 전역을 참조하지만 현재 파일은 모듈입니다.(오류) (0) | 2022.12.01 |
포트폴리오 영상 + 사진 - 클론코딩영상 및 카카오맵api/소셜로그인 구현영상, /React - tailwind css/axios/jsonplaceholder-REST API/ (0) | 2022.11.24 |
[React error] - react에서 emmet을 작동시키고 싶을때/+ setting json 파일 찾는법 (0) | 2022.11.18 |